이동평균선이란?
주가의 평균가격을 선으로 이어 그린 이동평균선은 투자 판단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대표적인 그래프입니다.
이동평균선을 보면 주가의 방향성과 변곡점을 쉽게 알 수 있어 마음 편한 매매가 가능합니다.
이동평균선으로 주가의 방향성과 변곡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동평균선의 의미와 작성방법
투자자가 이용 가능한 기술적 지표 가운데 가장 신뢰할 수 있고 알기 쉬운 지표 중 하나가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은 변화무쌍한 주가의 흐름을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주가의 평균가격을 계산하여 연결한 선으로, 기업가치(또는 시장가치)에 대한 시장참가자들의 평균적인 합의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므로 미래의 주가 동향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동평균선의 종류는?
이동평균선은 주가 이동평균선과 거래량 이동평균선으로 나누어집니다.
✅주가 이동평균선은 200일, 120일, 60일, 20일, 10일, 5일 등 기간별로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이중 200일과 120일 이동평균선은 장기추세로서 경기 사이클과 유사하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며 중장기 투자에 활용합니다. 60일과 20일 이동평균선은 수급선으로 중단기 투자에 활용하고, 10일과 5일 이동평균선은 단기추세로서 재료와 수급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로 단기매매에 많이 이용합니다. 선물 옵션의 경우에는 더욱 세분화해서 시간단위(1시간, 2시간), 분단위(30분, 5분, 1분)로 구분하여 보기도 합니다.
기간별 이동평균선은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장기 이동평균선은 매일매일의 주가 변동에 크게 좌우되지 않기 때문에 대세를 판단하는 데는 유용하나, 시세의 전환을 신속히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단기 이동평균선은 하루하루 움직임에 민감하게 영향 받으므로 추세판단에 혼란을 가져올 때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단기와 중기 그래프를 함께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거래량 이동평균선은 주가 대신 거래량을 이용해 그립니다. 주가 이동평균선과 거래량 이동평균선은 대체로 서로 호응해 움직입니다.
특별히 거래량 이동평균선이 주가 이동평균선과 반대로 움직일 때, 예를 들면 주가이동평균선은 상승하는데 거래량 이동평균선은 하락 추세라면 주가 이동 평균선의 변화를 예고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 이동평균선은 5일선과 20일선을 주로 활용합니다.
이동평균선 활용방법은?
1.이동평균선은 주가의 방향을 파악하는데 활용합니다.
- 상승추세: 이동평균선이 상승하면 주가는 상승추세라고 봅니다.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는 동안에는 상승추세가 이어진다고 봐야 합니다.
- 하락추세: 이동평균선이 하락하면 주가도 하락추세라고 봅니다.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는 동안에는 하락추세가 이어진다고 봐야 합니다.
- 횡보추세: 이동평균선이 횡보하는 동안에는 주가도 횡보한다고 봅니다.
2. 매수와 매도 시점을 파악하는데 활용합니다.
- 하락하던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시점으로 봅니다. 주가가 5일, 20일 이동평균선을 차례로 돌파하고 5일 이동평균선도 상승으로 돌아서면 적극 매수합니다.
- 하락전환 : 상승하던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하면 매도시점으로 봅니다. 주가가 5일선, 20일선을 차례로 돌파하고 5일 이동평균선도 하락으로 전환되면 적극 매도해야 합니다.
- 횡보국면: 이동평균선이 횡보하는 상태에서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로 상승하면 매수하고,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로 하락하면 매도합니다. 특히 주가가 장기 하락하여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수렴한 곳에서 주가가 5일선 또는 20일선 등 중단기 이동평균선을 동시에 돌파하면서 상승할 때는 주가 상승폭이 클 것으로 예상합니다. 주가가 장기간 횡보하며 급한 매물이 정리된 상태에서 들오온 신규 매수세력이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주가가 장기 상승을 보인 후 고점에서 5일, 20일 이동평균선이 수렴한 상태로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로 떨어지면 하락폭이 클 것으로 보고 적극 매도해야 합니다.
3. 지지선과 저항선으로 활용합니다.
상승하던 주가가 5일선을 하향 돌파하면 어디까지 하락할까요?
1차적으로 20일선까지 하락하고 20일선에서 지지된다고 보면 됩니다. 20일선을 돌파하면 60일선, 120일선 등이 차례로 지지선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하락하던 주가가 5일선을 상향 돌파하면 어느선에서 저항을 받을까요?
1차적으로 20일선에서 저항을 받고, 다음으로 60일선, 120일선이 차례로 저항선이 됩니다.
지금까지 이동평균선과 이동평균선의 활용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